
생화학적 검사자료
혈청 단백질

요 검사
소변 요소질소와 소변 크레아티닌은
단백질 분해대사와 질소평형 상태를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소변 내 요소의 농도를 통해 단백질의 섭취와 분해, 간의 요소생성률, 콩팥의 요소제거율을 알 수 있습니다.
총 림프구수
영양소 결핍이 있을 경우 면역체계가 억제될 수 있습니다.
임상 자료
전반적 외모, 체중의 증가나 감소, 피부 상태, 손톱과 모발의 상태, 잇몸, 혀, 근육 등의 신체 사정
식이자료
24시간 음식회상법 : 대상자에게 24시간동안 섭취한 모든 음식과 음료를 회상하도록 묻는 방법
음식섭취빈도 기록법 : 특정 음식을 얼마나 자주 섭취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체크리스트
음식일기 : 일정 기간 동안 대상자가 섭취한 모든 음식과 음료의 양을 측정하여 자세히 기록
식이

장관 영양
1. 장관영양 기구
코위관(nasogastric tube = NG tube = Levin tube)
단기간 영양공급이 필요할 때 사용
구역반사, 기침반사가 없는 대상자에게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튜브가 폐로 잘못 들어가도 환자가 반응이 없기 때문에 의료진이 폐에 삽입할 위험이 높기 때문입니다.
Salem sump tube :
두 관강 중에서 큰 관강은 액체를 위로 전달하거나 위 내용물을 제거하는 데 사용
작은 관강은 위 내용물을 흡인할 때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튜브가 진공상태가 되어 위 벽에 들러붙는 것을 막아줍니다. (위점막 보호)
코장관(nasoenteric tube)
코위관보다 더 길며 한 쪽 콧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작은창자 상부까지 도달
흡인 위험이 높은 대상자에게 사용
위창냄(위조루, gastrostomy)
피부경유 내시경 위창냄(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PEG)
빈창자창냄(공장조루, jejunostomy)
피부 경우 내시경 빈창자창냄(percutaneous endoscopic jejunostomy, PEJ)
2. 관 위치 확인하기
(1) X-ray 촬영
(2) 위액을 흡인 → 흡인한 액체의 pH 측정
(위 흡인액은 pH 가 1~4 정도의 산성, 작은창자 흡인액은 pH 6 이상, 호흡기계 분비물은 pH7 이상)
3. 영양액 관리
개방시스템 : 뚜껑이 있는 용기에 캔에 들어 있는 영양액을 붓거나 분말 형태의 영양가루를 멸균된 물에 타서 공급
개방시스템을 이용할 때는 영양액을 부은 후 8~12시간 이내에 주입을 마쳐야 합니다.
이후에는 영양액을 폐기한 후 용기를 씻고 새로운 영양액을 담아야 합니다.
영양주입백과 튜브는 24시간마다 교환해야 합니다.
영양액은 실온상태로 주입합니다. 영양액을 실온상태로 만들기 위해 중탕하거나 상온에 잠시 두면 됩니다.
비경구영양
비경구영양(정맥영양, parenteral nutrition)은
총비경구영양법(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이라고도 합니다.
정맥으로 포도당, 물, 지방, 단백질, 전해질, 비타민, 미량영양소 등을 주입하는 것입니다.
TPN 용액은 고장액이기 때문에
혈액에 희석될 수 있도록 혈류가 빠른 중심정맥으로 주입됩니다.
TPN 동안에는 외과적 무균술을 적용해야 하며,
주입을 서서히 시작하여야 하고 중단 시에는 천천히 주입속도를 감소시켜야 합니다.
혈청 알부민 수치가 2.5g/dL 이하가 되었을 때 투입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