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 발달
본문 바로가기

교육학/교육심리

성격 발달

Freud의 심리성적 성격발달이론

의식 수준

의식

주의를 기울이는 순간 알아차리거나 느낄 수 있는 정신작용

: 수업 듣기 싫다 등

전의식

의식과 무의식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저장된 정보를 평소에는 인식할 수 없지만 주의를 집중하면 의식할 수 있다

: 오래된 친구의 이름이 기억나지 않다가 계속 생각하니 떠오름

무의식

: 이유없는 분노

 

 

성격의 구조

 

심리성적 발달단계

 

 

Erikson의 심리사회적 성격발달이론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Freud와 Erikson 비교>

 

 

 

 

Marcia의 정체성 지위이론

정체성 확립

자신에 대해 알고자 하는 노력을 하고 구체적인 광버에 전념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

 

정체성 유예

자신에 대해 알고자 하는 노력은 꾸준히 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과업에 전념하지 못한 상태를 의미

중고등학교에서 많이 보이는 상태

정체성 확립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과도기적 단계로서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건강한 현상이라고 하였다.

(시간이 흐르면서 정체성을 확립)

 

정체성 상실

자신에 대해 알고자 하는 탐색 노력은 하지 않은 채 어떤 활동이나 과업에 전념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

이 상태에 있는 사람들은 흔히 자신의 역할, 신념, 직업 성태 등에 대해 고민하거나 탐색하지도 않고

어떤 활동이나 과업에 전념

자아정체성을 충분히 탐색하지 않고 삶의 목표와 가치를 설정하며 그 목표와 가치에 따라 행동

대체로 부모나 다른 역할모델의 가치나 기대 등을 그대로 수용하여 그들의 가치나 기대에 부응하는 선택

겉으로 보기에 매우 안정적으로 보이지만 뒤늦게 정체성 위기를 경험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정체성 혼돈

자신에 대해 알고자 하는 노력도 하지 않고 어떤 활동이나 과업에도 관여하지 못한 상태를 의미

위기를 경험하지 않았고, 직업이나 이념 선택에 대한 의사결정을 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문제에 관심도 없다.

 

 

 

 

 

 

 

 

 

 

 

 

 

'교육학 > 교육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한 학습자1 (영재아동)  (0) 2019.11.20
교육 지능  (0) 2019.11.15
피아제(Piaget)와 비고츠키(Vygotsky)  (0) 2019.09.18
발달의 이해  (0) 2019.09.05
교육심리학의 기초  (0) 2019.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