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방법 및 수업전략
본문 바로가기

교육학/교육공학

수업방법 및 수업전략

교수자 중심의 수업방법

강의법

[장점]

단시간에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학습하는 것이 가능

교과내용에 대한 보충, 가감, 삭제가 용이

학습자의 감정 자극이나 동기화에 쉬움

 

[단점]

교과서에 의존하는 수업이 될 가능성(실무적 부문 결여)

개별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하기 어려움

교수자의 역량에 대한 의존 비율이 높음

 

발문법

교수자와 학습자가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는 상호작용 과정에 근거

학습자의 잠재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질문은

결국 교수자의 능력에 의존하기 때문에 교수자 중심의 교수법으로 간주

 

[장점]

학습목표가 명확한 학습활동이 가능

학습자의 발표력 신장과 주체적인 학습이 가능

교사와 학습자의 원활한 의사소통 촉진

 

[단점]

학습자가 소극적이면 진행이 어려움

학습자의 사고와 창의적 영역을 한정

우수한 학습자 중심으로 진행될 가능성

 

주제탐구형 수업방법

토의법

의사소통을 기본으로 하여 학습목표를 달성하게 하는 교수법

 

[장점]

타인의 의견 존중과 협력적 태도를 배양

학습자 스스로 사고하고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함양

상대를 설득하기 위한 대화 방법과 사고 방법을 습득

 

[단점]

학습 참여가 낮으면 형식적 토의가 될 수 있음

효과적인 학습결과를 도출하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

충분한 준비가 전제되어야 효과적인 진행 가능

 

NIE

NIE(Newspaer In Education) : 신문을 활용한 수업방법

 

[장점]

학습자의 고차원적인 사고력과 논리력이 향상

현실적인 감각을 높이는 데 도움

 

[단점]

수업시간에 맞춰 활용하는 데 어려움 발생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수업 준비에 대한 부담감 상존

각 과목별로 개별적인 교육방식 필요

 

협동학습을 위한 수업전략

직소우 모형(jigsaw model)

세부 주제별로 전문가를 양성해서 동료 학습자를 가르치도록 하는 협동학습 모형

5~7명

이질적인 구성원

학습자들은 더욱 책임감을 갖고 협동학습에 참여하게 됨

성취과제 분담 모형

(student team achievement division: STAD)

개인의 성취를 팀의 성취로 분담할 수 있도록 하는 모형

4~5명

다양한 능력 수준에 따라 이질적인 학습자들로 구성 (랜덤)

과제 제시 → 팀 활동 → 평가 → 팀 점수로 환산

팀토너먼트 게임 모형

(team game tournament : TGT)

모형은 비슷한 수준의 학습자들끼리 경쟁을 유도하기 위한 협동학습 모형

동질적인 집단

비슷한 수준의 학습자들끼리 토너먼트를 벌이는 방식으로 팀 경쟁이 일어난다.

'교육학 > 교육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멀티미디어 학습  (0) 2019.12.13
수업지도안의 작성  (0) 2019.11.19
교수이론과 수업 모형  (0) 2019.11.18
교육공학의 정의와 역사  (0) 2019.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