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질은 발작유형에 따라 아래의 표와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간질치료제는 작용원리에 따라 크게 GABA 작용 강화제, Na이온 통로 차단제, Ca이온 유입 차단제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발작유형에 따라 사용하는 약물을 암기해두는 것이 좋으므로
그림 1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GABA 작용 강화제
GABA(gamma aminobutyric acid)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입니다.
GABA 작용 강화제는 GABA의 억제 효과를 더 강화시켜 발작을 가라앉히는 역할을 합니다.
종류에는 barbiturate계 중 phenobarbital과
benzodiazepine계 중 diazepam(Valium), clonazepam 등이 있습니다.
Phenobarbital은 신생아 발작 치료 시에 1차 선택약이며 실신 발작을 제외한 주요발작에 효과적입니다.
장시간 작용형이며 의존성이 강하지 때문에 약물을 갑자기 증단할 시에는
다시 발작을 일으키거나 환각을 보는 등의 금단증상이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Na 이온 이동 차단제
는 나트륨 통로의 활동을 둔감화시켜서 신경활동을 완화시킵니다.
대표적인 약물로 phenytoin, carbamazepine, valproic acid 등이 있습니다.
phenytion은 실신발작을 제외한 모든 경련에 유용하며 부작용으로 다모증, 잇몸 증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carbamazepine은 강직간대발작과 부분발작에 사용하며 phenytoin보다 유해반응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고령자에게 사용시 현기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과립구 감소시 투여를 중지해야 합니다.
valproic acid는 광범위한 발작(실신발작까지 포함)에 사용이 가능하며
태아 기형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임산부에게는 금기입니다.
Ca 이온 유입 차단제
는 신경 내부로 들어오는 Ca 이온의 유입을 차단하여 신경활동을 완화시킵니다.
대표적인 약으로는 Succinimides: Ethosuccimide가 있으며 이 약은 실신발작의 1차 선택약입니다.
부작용으로 무과립혈증과 재생불량성 빈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간호학 > 약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분장애 치료제 (0) | 2019.12.04 |
---|---|
전신마취제, 알츠하이머 치료제, 조헌병 치료제 (0) | 2019.12.03 |
수면제 (0) | 2019.12.02 |
파킨슨증후군 치료제 (0) | 2019.11.30 |
약물치료가 지향하는 것 (0) | 2019.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