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세포손상의 형태학적 변화
가역손상
가역손상의 대표적인 예는 세포종창과 지방변화가 있다.
괴사(necrosis)
살아 있는 조직이나 장기 내에서 세포가 죽은 후 일어나는 변화
괴사의 종류는
응고 괴사, 액화 괴사, 건락 괴사, 지방 괴사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응고 괴사는 수 일간 세포의 모양이 보존되어
괴사되어도 세포 윤곽이나 구조를 인식할 수 있는 상태입니다.
액화 괴사는 박테리아나 곰팡이균에 의한 감염으로
뇌조직의 허혈손상에서 관찰됩니다.
건락 괴사는 응고 괴사와 액화 괴사가 혼합된 형태로
육안으로 봤을 때 치즈 덩어리와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지방괴사는 췌장에서 분비되는 리파아제의 작용으로
지방조직이 괴사를 일으키는 세포사의 특수한 형태입니다.
흰 분필 모양의 병태가 관찰되는 것이 특징이며
지방 괴사는 급성 췌장염에서 흔히 나타납니다.
세포자멸사(apoptosis)
아래는 괴사와 세포자멸사를 비교한 표입니다.
세포 내 축적
1. 지방변화 또는 지방증
지방증(steatosis) : 실질 세포 내에 트리글리세리드(중성지방)가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는 것
지방증의 원인은 알코올 남용, 단백질 부족, 당뇨병, 무산소증, 비만증 등이 있습니다.
(고지혈증은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을 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2. 단백질
축적되는 경우는 지질에 비해 드뭅니다.
단백질 변형에 의해
Creutzfeld-Jakob병, Alzheimer병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당원
당원이 축적되어 당뇨병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4. 색소
탄분증 : 탄분 색소가 폐와 림프절을 검게 만드는 것
탄광부 진폐증 : 폐에 침착이 심해서 섬유화나 폐기종을 유발하는 것
혈철증 : 철과 혈철소가 국소적으로 과잉 침착되는 것
5. 병적석회화(pathologic calcification)
석회염이 소량의 철분, 마그네슘 등의 광산염과 함꼐 비정상적으로 침착되는 것을 말합니다.
(5) 세포적응
1. 위축(atrophy)
세포의 수는 그대로이나 세포의 크기가 감소되는 현상
세포수가 충분히 많으면서 조직 전체나 장기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
2. 비대(hypertrophy)
세포의 부피가 증가되어 결국 장기의 크기가 증가
생리적으로 임신 중 자궁의 평활근세포의 비대와 증식이 자연적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만성 고혈압 환자의 좌심실 심근세포가 커지는 등 병적으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3. 증식(hyperplasia)
장기나 조직의 세포 수가 증가하는 것
사춘기나 임신 시 유방 샘상피의 증식(호르몬성 증식),
간절제 후에 남은 간의 조직이 세포분열하여
간이 원래 크기로 돌아오는 (보상성 증식) 등의 생리적 증식이 있는 반면에,
과도한 호르몬이나 성장인자의 자극 때문에 병적 증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4. 화생(metaplasia)
세포가 다른 형태의 세포로 대치되는 경우
흡연을 오랜 기간 하게되면
기관지의 섬모성 원주상피는 편평상피로 화생을 일으킵니다.
만성 위역류 환자는 식도 하부의 편평상피가 장 상피로 변화될 수 있습니다.
'간호학 > 병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혈관계3 (조혈계) (0) | 2019.11.13 |
---|---|
심혈관계2 (혈관) (0) | 2019.11.12 |
심혈관계1 (심장) (0) | 2019.11.11 |
종양1 (0) | 2019.11.09 |
세포손상과 적응1 (0) | 2019.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