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혈구 질환
비종양성 백혈구 질환
백혈구감소증(leukopenia)과 백혈구증가증(leukocytosis)이 있습니다.
종양성 백혈구 질환
백혈병과 골수증식질환
골수계종양은 조혈전구세포
(혈액세포가 되기전의 원시세포,
이 세포를 여러 성장인자들에 노출시키면
성인의 골수세포에서 자연적으로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을 형성하게 됩니다)
에서 기원하는 종양으로
골수를 침범한 후 나아가 림프절, 간, 비장 등으로 가게 됩니다.
급성골수백혈병(acute myelogenous leukemia, AML)은
돌연변이에 의해 골수계세포의 발달이 차단되어
아직 성숙되지 못한 미성숙 골수세포(모세포)가 골수에서 증식하는
조혈전구세포기원의 악성종양입니다.
주로 노년층(평균 50대)에 발생하며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
만성골수증식질환(chromic myeloproliferative disorder)의 예로는
만성골수백혈병(chronic myelogenous leukemia,CML)이 있습니다.
CML은 22번 염색체가 정상에서 변형되어
‘필라델피아염색체(Philadelphia, Ph염색체)’를 형성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30~40대에 자주 발생하며 치료법은 골수이식입니다.
다발골수증(multiple myeloma) 및 형질세포관련 질환
다발골수종은 가장 흔한 형질세포관련 질환의 중 하나로 악성 종양입니다.
다발성의 골용해(뼈를 녹임)와 머리뼈의 통증과 병적 골절,
혈중 칼슘치의 증가 등을 특징으로 합니다.
림프계 질환 (악성 림프종)
림프계의 질환으로는
림프절염, 림프절의 반응성 증식, 육아종성 염증, 악성 림프종 등이 있습니다.
악성 림프종에 대해서만 조금 더 알아보자면
악성 림프종은 비호지킨림프종과 호지킨림프종,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우리 몸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악성 림프종은
비호지킨림프종이기 때문에
호지킨림프종에 대해 알면
자연스럽게 두 가지를 구분할 수 있게 됩니다.
'간호학 > 병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흡기계 (0) | 2019.11.17 |
---|---|
심혈관계3 (조혈계) (0) | 2019.11.13 |
심혈관계2 (혈관) (0) | 2019.11.12 |
심혈관계1 (심장) (0) | 2019.11.11 |
세포손상과 적응2 (0) | 2019.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