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레니즘 시대의 교육
헬레니즘 문화
헬레니즘의 탄생은 알렉산더에 의한 대제국(마케도니아 왕국) 건설의 결과입니다.
헬레니즘 문명은 고대 그리스 세계와 중동 및 서남아시아의 문화가 융합된 산물이며
그리스 문명을 로마로 전해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습니다.
헬레니즘 시대의 교육
고등교육기관이 발달 : 아테네는 고등교육의 중심지
도서관이 설립되어 운영
철학과 수사학이 발달
알렉산드리아는 아테네 다음으로 중요한 중심지 :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은 70만여 권의 장서를 소장
논증능력의 훈련 및 형이상학과 윤리학 등이 주로 다루어졌다.
지적 혁신보다는 백과사전적인 박학과 문화를 보존하는 데 관심
→ 고전적인 학문을 체계화하고 목록화하여 가르치는 데 주목
로마의 교육
공화정 시대의 교육 (로마전기)
(초기에는 왕정이었으나 곧 공화정으로 바뀌었음)
기원전 146년에 그리스를 정복 : 본격적으로 그리스의 영향을 수용하여 변화하기 시작
공화정 시기의 로마교육은 실용성을 특징으로 하였다.
교육목적 : 애국적이고 건강한 시민을 양성하는 것
선량한 시민, 군인, 노동자를 양성하는 것
실제적 생활을 통한 훈련이 이루어졌는데,
교육의 내용은 초보적인 읽기, 쓰기, 셈하기와 12동판법 및 체육이 중심
초기의 로마의 교육은 가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부모가 자녀의 교육을 책임지고 가정에서 실생활을 통해서 교육하였으며,
때로는 포로로 잡혀 온 지식인 노예들이 교사 역할을 수행
아버지의 역할↑
귀족의 자제들 : 16세가 되면 유력 정치인 밑에서 정치를 배웠으며 → 17세부터는 군대에서도 활동
제정 시대의 교육 (로마후기)
황제가 통치하는 1인 지배체제가 확립
그리스적인 학교교육 제도를 수용하여 교육에 변화가 생김 :
교육의 중심이 부모가 주도하는 가정교육에서 학교로 이동
그리스의 전통을 계승하여 지적 발달을 위한 이성의 훈련과 언어 능력의 훈련이 중요하게 되었다.
교육사상가
키케로
인간의 성향은 근본적으로 선하다고 보았다. →
천부적인 선한 소질은 교육을 통해 완성될 수 있다고 보고,
교육을 통해서 선한 본성이 선으로 실현되면 행북에 이르게 된다고 하였다.
교육의 목적 : (일차적) 인간의 선을 실현하는 것
(둘째) 넓은 교양과 철학적 지식을 갖춘 웅변가를 양성하는 것
훌륭한 웅변가에게 필요한 교육내용 : 철학, 역사, 정치학
(역사는 로마 민족의 주체성을 기르기 위한 필수적인 과목)
교육방법 : 체벌을 금지, 명예심을 존중함으로써 선함을 실현, 개성을 존중하는 교육이 필요
퀸틸리아누스
로마 최초로 국가 소속의 (공)교수가 되었다.
12권에 달하는 『웅변가교육론(Institutio Oratoria)』을 썼는데
교육을 과학적으로 취급한 최초의 저술로 평가되기도 한다.
훌륭한 웅변가를 양성하기 위해 조기교육이 중요성과
학교에서의 경쟁과 우정이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교사의 제일가는 임무는 학생들의 개성을 발견하여 그에 맞게 지도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개성에 따른 교육을 주장)
체벌을 금지, 체벌보다는 포상이 교육적으로 더 효과가 크다고 주장
학습에 있어서 흥미와 유희의 필요성을 인정
'교육학 > 교육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시대의 교육 (0) | 2019.11.29 |
---|---|
중세 시대의 교육 (0) | 2019.11.28 |
고대 그리스의 교육 (0) | 2019.11.26 |
일제 강점기의 교육 (0) | 2019.11.25 |
개화기의 교육 (0) | 2019.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