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의 교육은 크게 종교교육과 세속교육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기독교 교육
교부 철학과 스콜라 철학
기독교 학교
(문법학교, 고급문답학교, 사원학교, 수도원 학교 등)
그 중에서 수도원 학교(monastic school)은
수도원 생활의 정신을 구현하기 위하여 수도원에 부설된 것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이 가능하다.
①수도원 생활을 통하여 수도사를 지망하는 5세 내지 7세의 아동을 교육하기 위한 것
②수도사를 지망하지 않는 일반 아동을 수용하여 교육하는 것
세속교육
세속 학교
(1) 조합학교 : 상공업자들이 자녀들의 교육을 위해 설립한 학교
(2) 도시학교 : 중세 후반에 발달한 도시들에서 시민들의 교육 담당 학교들
(문법학교, 공중학교, 독일의 라틴어 학교 등)
(3) 도제교육 : 기술자 양성을 위한 특별한 교육제도
기사교육
대학의 발달
대학의 발생은 중세 후기 세속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사건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과 아랍 학문들의 영향으로
커다란 학문적 발전을 경험하게 되었다
예 : 이탈리아 볼로냐와 살레르노 대학, 프랑스 파리 대학, 영구 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
당시의 강의는 유럽의 공통적인 학문 언어였던 라틴어로 이루어짐
수업방법 : 강의와 토론 / 세속적인 학문연구에 치중 / 교회로부터의 독립을 유지
교수와 학생들은 병역, 부역, 세금이 면제되었으며
대학 내에 독립된 법정을 설치하는 등 치외법권적인 특권을 누렸다.
교육사상가
아우구스티누스
신학적 정통성을 확립하고 지켜내기 위해서 노력
최대 공헌 : 고대 그리스·로마의 철학과 기독교 사상을 통합하여 신학의 체계를 정립
교육적인 부분에서도 그는 플라톤과 신앙을 결합한 사상을 전개
교사가 지식을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내면에 감추어진 진리를 발견하는 것으로 보았다.
'교육학 > 교육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시대의 교육 (0) | 2019.11.29 |
---|---|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의 교육 (0) | 2019.11.27 |
고대 그리스의 교육 (0) | 2019.11.26 |
일제 강점기의 교육 (0) | 2019.11.25 |
개화기의 교육 (0) | 2019.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