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통제
본문 바로가기

간호학/약리학

진통제

진통제는 아편유사제(마약성 진통제)와 비아편유사제(비마약성 진통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아편유사제(마약성 진통제)

아편(Opioids) : 강력한 진통, 다행감 등을 준다

 

Opium alkaloids

자연의 양귀비 열매 삼출물에서 추출해낸 마약성 진통제

morphine

강력 진통 효과가 있지만

내성(갈수록 강력한 용량을 필요로 함), 의존성, 중독성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부작용으로는 호흡 억제와 축동(동공이 축소되고 빛에 반응하지 않음)이 있습니다.

호흡 억제 부작용 때문에 만성호흡기질환(기관지천식, 폐결핵)환자에게는 금기입니다.

노인이나 소아에게는 가능한 소량으로 제한하여 투여합니다.

codein

진통효과는 morphine 1/6 밖에 되지 않지만

그만큼 부작용도 적으며 주로 진해제로 사용됩니다.

 

synthesis opioids (합성 아편)

천연 opioids가 아닌 합성 opioids이기 때문에 부작용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pethidine

morphine의 1/10 정도의 진통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평활근 이완 효과가 있어서 산통이나 근육통의 완화에도 사용되어집니다.

fentanyl

morphine만큼의 강력한 진통효과를 가지지만,

부작용은 단기간 소실되는 장점이 있는 약물입니다.

(호흡억제가 올 수도 있으나 단기간으로 나타나고 사라짐)

암환자에게 패치 형태로 많이 사용되며 수술 후 통증 시에도 사용된다고 합니다.

oxycodone

많이 쓰이지는 않는 약물이지만 morphine보다 부작용이 적고 노인에게 안전한 약물입니다.

 

아편유사제의 길항제는 Naloxone입니다.

 

*병원 내에서 마약성 약물은 이중으로 잠금장치가 된 철제금고에 보관하여야 합니다.

 

 

비아편유사제

aspirin

NSAIDs(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제)계 진통제입니다.

*수두를 앓고 있는 미성년자에게는 사용을 금기합니다.

기면, 구토, 혼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인데 이를 레이증후군이라고 합니다.

acetaminophen(Tyrenol)

prostaglandin(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방해하여 해열과 통증 완화 효과를 일으킵니다.

tramadol

척수뉴런에서 NE(노르에피네프린)와 serotonin 재흡수를 억제합니다.

'간호학 > 약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균제2  (0) 2019.12.07
항균제1  (0) 2019.12.06
기분장애 치료제  (0) 2019.12.04
전신마취제, 알츠하이머 치료제, 조헌병 치료제  (0) 2019.12.03
수면제  (0) 2019.12.02